임종명 전북자치도의회 의원, “남원시를 전북자치도 산림특화지역으로 지정하자!”

임종명 전북자치도의회 의원, “남원시를 전북자치도 산림특화지역으로 지정하자!”

임종명 전북자치도의회 의원, "남원시를 전북자치도 산림특화지역으로 지정하자!"
▲사진*임종명 전북자치도의회 의원

[전북소비자저널=최훈 기자] “산림자원을 갖춘 남원시와 연계해 다양한 산림정책을 전개한다면 산림자원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임종명 전북자치도의회 의원이 21일 열린 제416회 임시회에서 “전북자치도가 도 전체 면적의 55.1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는 산림자원을 활용해, 숲으로 잘 사는 시대를 열겠다고 하고 있다. 이런 비전이 단지 구호에만 그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현실은 참으로 안타깝기만 하다”고 피력했다.

임종명 의원은 “2024년 현재 산림분야 예산은 전북자치도의 총예산의 1.75퍼센트에 불과하며, 전북자치도는 대부분의 산림사업을 국고보조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전북자치도의 산림조직은 타 광역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초라한 1과 5팀에 불과해 갈수록 증가하는 산림휴양·재해 등 산림 분야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고 밝혔다. 

이어 “전북자치도는 2024년 12월 27일부터 시행된 「전북특별자치도 설치 및 글로벌 생명경제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을 산림정책의 획기적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친환경산악관광지구 및 산림복지지구 지정 권한이 도지사에게 이양됨으로써,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통한 생활인구 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모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그는 “숲으로 잘 사는 시대’ 구현을 위해서는 생태계 보전, 탄소중립, 지역발전, 삶의 질 향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산림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의원은 “특히 지역 사회와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림정책을 모색해야 한다. 무엇보다 각 시군의 고유한 특성과 풍부한 산림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런 차원에서 본의원은 산림면적의 비중이 높은 동부 산악권의 중심 지역인 남원시를 주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남원시는 다양한 수종과 건강한 산림을 자랑하는 온실가스 흡수원이자 다양한 약용식물과 임산물의 서식처이며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천혜의 산림자원인 지리산을 보유한 고장이다. 지리산 둘레길로 상징되는 등산로와 아름다운 경관은 그 자체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끄는 관광자원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끝으로 임 의원은 “남원시를 산림특화지역 지정을 통해 전북자치도가 강조하는 생명경제 구현과도 잘 어울리는바, ‘일터, 삶터, 쉼터’로 활용한다면 전북자치도가 가진 산림자원의 잠재력을 일깨우는 계기가 될것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임종명 의원은 남원시의 산림특화지역 지정과 함께 아래와 같이 제안했다.

첫째, 증대하고 있는 산림휴양·치유·교육·체험 등에 대한 관심과 수요에 맞춰 남원에 산림치유원, 유아숲체험원, 산림욕장, 목재문화체험장 등 산림복지 서비스 인프라를 대폭 확충해야 합니다.  
 
둘째, 산림휴양 및 산림레포츠 활동 등 국민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지리산 둘레길과 연계한 테마임도를 확충해야 합니다. 현재 전북자치도가 체류형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해 전개하고 있는 삼천리길 프로젝트와 연계한다면 시너지 효과가 상당할 것입니다.

셋째, 앞서 말한, 남원시에 소재한 산림 관련 기관들을 활용해 임업 아카데미 등 각종 교육 사업을 진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