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등 1천억대 기금 투입...인구감소 위기 넘는다!](https://i0.wp.com/blog.kakaocdn.net/dn/Rj57c/btsMcdGqFzA/ezSNCzLa5o6RLkMKRUs2X1/img.jpg?resize=650%2C420&ssl=1)
[전북소비자저널=최훈 기자] 전북자치도가 인구감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역활력을 높이기 위해 인구감소(관심)지역에 투자하는 ‘2025년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에 총 1,019억원을 투입한다.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전북 내 인구감소 및 관심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도 기금 14개 사업에는 193억 원, 시군 기금 50개 사업에는 826억 원이 지원된다고 10일 밝혔다.
대상 지역은 정읍, 남원, 김제,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고창, 부안 등 10개 인구감소 지역과 관심지역인 익산시이다.
2025년 도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분야는 3개 전략 14개 사업이다.
3대 전략 분야는 ▲임신·출산 및 생활 인프라 구축을 통한 함께 살고 싶은 전북 조성 ▲ 일자리 창출 및 체류여건 조성으로 함게 일하고 머물고 싶은 전북 조성 ▲ 교육·사회서비스 수준 향상 및 지역활력 제고로 함께 행복한 전북 조성이다.
첫 번째는 임신·출산 및 생활인프라 구축이다. 도는 116억 원을 투입해 공공산후조리원과 모아복합센터 건립을 추진하여 도민의 지역 내 의료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도민들의 출산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두 번째는 일자리 창출 및 체류 여건 조성이다. 도는 43억 원을 투입해 특장 전문인력양성 거점공간 조성, 농촌유학 가족체류형 거주시설 조성, 청년창업 스마트팜 패키지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 청년들이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예정이다.
세 번째는 교육 및 사회 서비스 수준 향상이다. 34억 원을 투입해 전북형 청년 마을 만들기 사업과 지역활력타운을 조성하는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지역활력타운 사업은 3개시군(남원시, 김제시, 부안군) 기금과 연계하여 은퇴자와 청년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지와 생활 인프라를 통합 지원하는 복합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전북자치도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이끌어냈다. 2022년부터 도입된 지방소멸대응기금은 현재 4,098억 원 규모로 확대됐으며, 사업이 4년 차에 접어들면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청년창업 스마트팜 패키지 사업(2022~2025년)’은 농촌으로 이주한 청년농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청년농들의 지역 정착을 돕는 중요한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사업은 2022년부터 전국 최초로 시행되어, 도 이주 청년과 인구감소 지역의 우수 청년농들에게 스마트팜 창업을 위한 전방위적 지원을 제공하며, 가족 단위로 농촌에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었다.
각 시군도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통해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김제시는‘귀촌청년 로컬재생 복합문화 조성사업(2024~2025년)’을 통해 농촌 유휴 시설을 청년들의 문화 거점으로 탈바꿈시켰다.
이 사업은 2024년 인구감소 대응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또한, 최근 한 방송 프로그램에 소개되어 로컬재생 핫플레이스로 자리잡았고, 지난해 김제시에 체류한 생활인구 증가에도 기여하는 등 지방소멸 대응에 큰 효과를 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정읍시는 소아외래진료센터를 올해 상반기부터 운영 예정으로, 소아청소년과가 없어 인근 전주, 광주 등을 찾아가야 했던 서남권 지역민의 의료 접근성이 높아져 아동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보육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익산시는‘취업-주거-돌봄’으로 이루어지는 청년생애주기 맞춤형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층의 정착을 도울 예정이다. 특히, 대규모 아파트 공급 시기에 맞춘 청년·신혼부부 익산형 주거사다리 구축 사업(2022~2025년)으로 청년층에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지난해 익산시 출생아 수가 57명 증가한 바 있다.
전북자치도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이 일회성 사업에 그치지 않도록 후속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워케이션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공공산후조리원 운영비 지원, 농촌유학 활성화 프로그램 확대 등 다양한 후속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천영평 도 기획조정실장은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어렵지만, 발을 내딛어야 다음 걸음을 걸을 수 있는 만큼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인구 감소의 시간을 되돌리는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하면서 2025년 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