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GPR 정밀탐사로 지반침하 위험 사전 차단!

전북자치도, GPR 정밀탐사로 지반침하 위험 사전 차단!
▲사진*GPR 탐사

[전북소비자저널=최훈 기자] 전국에서 지반침하(싱크홀)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전북자치도가 사고 예방을 위해 정밀 지반탐사, 노후 하수관로 정비, 대형 공사장 안전관리 강화 등 예방 중심의 대응 체계를 추진하고 있다.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2025년 4월까지 최근 7년간 도내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는 75건이며, 이 가운데 70.7%에 해당하는 53건이 하수관 손상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됐으며, 사고는 전주(34건·45.3%), 군산(17건·22.7%), 익산(16건·21.3%) 순으로 발생했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전북자치도는 지난 2022년부터 광역도에서는 유일하게 지표투과레이더(GPR)를 활용한 정밀 지반탐사 사업에 도비를 투입해 추진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일선 시군에서 예산을 편성해 정밀 지반탐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도는 도비를 지원해 시군의 참여를 장려하고 있다.

2024년까지 총 919km 구간을 탐사해 388개소의 지하 공동(空洞)을 발견했으며, 이 중 374개소에 대한 복구를 완료했다. 미복구 구간 14개소에 대해서도 상반기 내 정비를 마칠 계획이다.

지반탐사는 2026년까지 총 2,031km를 대상으로 지속 실시되며, 전체 사업비는 40억6천만 원(도비 8억1천만 원·시군비 32억5천만 원) 규모다. 도내에는 자체 GPR 장비를 보유한 시군이 없어 전문 업체에 의뢰해 고도화된 조사를 시행 중이다.

또한 전북자치도는 지반침하 주요 원인인 노후 하수관 정비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20년 이상 경과된 하수관로 3,959km에 대해 정밀조사를 완료하고, 구조적 문제가 확인된 307km 구간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91km 구간은 정비를 완료했다.

특히 대도시권에서 대형 건설공사장 주변 지반침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도는 지하 20m 이상 굴착이 이뤄지는 공사장에 대해 특별점검을 진행한다. 

도내 건설현장 가운데 ‘지하안전법’에 따른 점검 대상은 38개소에 해당하며, 이중 굴착 깊이 지하 20m 이상 현장 7개소에 대해서는 지표투과레이더 탐사도 병행할 계획이다. 점검은 오는 5~6월 집중 추진된다.

나아가 2023년부터는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협력체계(도- 14개 시군- 8개 유관기관)’도 구축해 탐사, 복구, 유사시 긴급 대응까지 보다 체계적인 대응이 가능해졌다.

김형우 건설교통국장은 “지반침하는 예고 없이 발생해 시민 안전에 위협을 줄 수 있는 만큼, 사전 예방 중심의 대응이 최우선이다”며, “지속적인 지반탐사, 노후관 정비, 그리고 대형 공사장 주변 관리 강화를 통해 도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한 전북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